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완벽 정리: 개념부터 GDP와의 차이, 경제적 의미까지

by gentle-growth 2025. 3. 11.

1. 국민총소득(GNI)란?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은 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총합을 의미한다.
즉, 국내에서 생산된 소득(GDP) + 해외에서 번 소득 - 해외로 유출된 소득을 포함한 개념이다.

📌 쉽게 말해:

  • GNI가 높을수록 국민이 벌어들이는 총소득이 많다는 뜻!
  • GNI가 낮으면 국민들의 실질 소득 수준이 낮거나, 해외로 빠져나가는 소득이 많다는 의미!

👉 GDP(국내총생산)와 GNI의 차이?

  • GDP = 한 나라 영토 안에서 생산된 소득
  • GNI = 한 나라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소득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완벽 정리: 개념부터 GDP와의 차이, 경제적 의미까지


2. GNI 계산 방법

GNI는 **GDP(국내총생산) + 국외순수취소득(해외에서 번 소득 - 해외로 유출된 소득)**으로 계산된다.

GNI 공식

GNI=GDP+(국외순수취소득)GNI = GDP + (국외순수취소득)

  • 국외순수취소득(Net Factor Income from Abroad, NFIA) =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 -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

3. GNI와 GDP의 차이

구분국내총생산(GDP)국민총소득(GNI)

개념 한 나라 국내에서 생산된 총소득 한 나라 국민이 벌어들인 총소득
포함 항목 국내 기업·개인의 소득만 포함 해외에서 번 소득 포함, 외국인의 국내 소득 제외
경제적 의미 한 나라의 경제 규모 측정 한 나라의 국민 생활 수준 측정

📌 예시:
삼성전자가 해외 공장에서 1조 원 벌었을 때?

  • GDP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GNI에는 포함됨!

외국 기업(예: 애플)이 한국에서 1조 원 벌었을 때?

  • GDP에는 포함되지만, GNI에서는 제외됨!

4. GNI가 경제에서 중요한 이유

1) 국민의 실제 소득 수준을 반영

  • GDP가 높아도 GNI가 낮으면 해외로 소득이 유출되는 구조일 수 있음.
  • GNI가 높을수록 국민 개개인이 실제로 버는 돈이 많다는 뜻!

2) 1인당 GNI는 생활 수준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

  • **1인당 GNI(국민총소득 ÷ 인구수)**는 국민의 평균 소득 수준을 나타냄.
  • 세계은행(World Bank)에서는 1인당 GNI를 기준으로 국가별 경제 수준을 구분함.

3) 국가 경제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기준

  • GNI가 높으면 국민 소득 증대 정책이 아닌 자산·투자 관리 정책이 중요함.
  • GNI가 낮으면 소득 증가 정책(일자리 창출, 최저임금 인상 등)이 필요함.

5. 1인당 GNI와 세계 국가 비교(2023년 기준)

📌 주요 국가 1인당 GNI 비교 (단위: 달러, USD)

국가1인당 GNI (2023년)경제 수준

🇺🇸 미국 약 76,000달러 고소득 국가
🇩🇪 독일 약 53,000달러 고소득 국가
🇯🇵 일본 약 42,000달러 고소득 국가
🇰🇷 한국 약 35,000달러 고소득 국가
🇨🇳 중국 약 12,000달러 중소득 국가
🇮🇳 인도 약 2,400달러 저소득 국가

📌 한국의 1인당 GNI는 약 35,000달러 수준으로 선진국 기준에 가까운 수준!
📌 하지만 미국·유럽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소득 격차가 존재!

👉 세계은행(World Bank) GNI 기준 국가 구분

  • 고소득 국가: 1인당 GNI 13,205달러 이상 (한국, 미국, 일본 등)
  • 중소득 국가: 1인당 GNI 1,086~13,205달러 (중국, 태국, 브라질 등)
  • 저소득 국가: 1인당 GNI 1,085달러 이하 (아프리카 일부 국가)

6. GNI가 낮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1) 국민 생활 수준 저하

✔ GNI가 낮으면 국민들의 평균 소득이 적음
✔ 소비 여력이 부족해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

2) 외국인 투자 감소 & 해외 자본 유출

✔ GNI가 낮으면 투자 매력이 줄어 외국인 투자 감소
✔ 국내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소득 유출 심화

3) 정부의 세수(세금) 감소 → 복지 정책 악화

✔ GNI가 낮으면 정부가 거둬들이는 세금도 줄어듦
✔ 복지·교육·의료 서비스 질 저하 가능성

📌 예시:

  • 1997년 외환위기(IMF 사태) 이후 한국의 GNI 급감 → 국민 생활 수준 악화 & 기업 도산 증가

7. 한국의 GNI 변화 (1990년~2023년)

📌 한국의 1인당 GNI 추이(단위: 달러, USD)

연도1인당 GNI주요 변화

1990년 7,398달러 고속 성장기
1997년 10,307달러 외환위기(IMF 사태) 직전
1998년 6,818달러 IMF 경제위기 → 급락
2005년 18,599달러 경제 회복, IT·수출 산업 성장
2010년 22,151달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회복
2019년 33,564달러 경제 안정기
2022년 35,000달러 고소득 국가 진입

📌 IMF 외환위기(1997년)와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당시 1인당 GNI 급락
📌 2020년대에는 1인당 GNI 40,000달러 돌파가 목표

👉 GNI가 증가하면 국민들의 실제 소득 수준이 개선됨을 의미!


8. GNI를 높이기 위한 전략

1)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 반도체, AI, 바이오, 전기차, 배터리 산업 등 첨단 기술 투자 확대
✔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지식 기반 경제로 전환

2) 해외 투자 확대 & 글로벌 기업 성장 지원
✔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외 시장 진출 지원
✔ 해외 소득 증가 → GNI 상승 효과

3) 일자리 창출 & 소득 증대 정책
✔ 최저임금 조정, 고용 안정 정책 등으로 국민들의 실질 소득 증가 유도
✔ 청년·노동 시장 개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9. 결론: GNI를 이해하면 경제 흐름이 보인다!

GNI는 국민이 벌어들이는 총소득을 의미하며,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GDP와 달리 해외 소득과 해외 유출 소득을 반영
한국의 GNI는 고소득 국가 수준이지만, 선진국 대비 소득 격차 존재
첨단 산업 성장, 해외 시장 개척,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GNI를 높이는 것이 중요!

👉 GNI 상승 = 국민의 실질적인 경제적 여유가 증가한다는 뜻! 😊